여제자 성추행 박근형 연출가는 누구…이윤택‧고은 이어 진보진영에 또다시
한강 노벨문학상 수상, 고은 황석영은 왜 실패했고 일본은 왜 성공했을까 (+번역의 자리)" data-og-description="과거 몇 번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한국의 번역 영역은 정말 제대로 존중받아야 하고,
www.neocross.net
연극 ‘카포네 트릴로지’는 매 시즌마다 매진을 기록했다. 그런데 관객들은 늘 불편을 호소한다. 그러면서 또 찾는다. 이상한 연극이다. 시카고 렉싱턴 호텔의 비좁은 방 661호를 배경으로 1923년, 1934년, 1943년의 시간차를 두고 벌어진 세 가지 사건을 옴니버스로 그려낸 이 연극은 묘하다.
‘카포네 트릴로지’는 관람 상황도, 의자도 불편하다. MBTI로 따지면 I 성향의 관객은 편안함을 버리고 관람을 해야 한다. 자리에 앉아 공연이 시작하기 전 앞의 관객들과 멀뚱멀뚱 바라봐야 한다. 물론 다들 스마트폰을 주시하긴 하지만, 상황 자체가 참 애매하다. 쉽게 말해 패션쇼장처럼 상대를 바라보게 좌석이 위치해 있는데, 그 사이 무대가 돌출도 아니고 그냥 의자와 같은 선상의 바닥이다. 배우가 실수로 관객의 발을 칠 수도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그 거리조차 3미터 남짓이나 될까. 애매하다.
오죽하면 폐소공포증이나 공간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을 보지 말라고 할까. 실제 공연 전에 관객이 불편하거나 하면 공연 중이라도 말해달라는 공지가 나올 정도다.
자리 자체도 편한 자리는 아니다. 이는 과거 김태형 연출이 대놓고 “좌석이 편하면 안된다”라고 설명한 적이 있다. 지나치게 편안한 자리가 주어지면 작품의 긴장감을 잃을 수 있다는 점 때문이란다. 영국에서 공연할 당시에는 등받이 없는 나무 벤치에서 공연을 봤다고 한다. 불편함이 동반되어야 공연의 참맛을 느낄 수 있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연극 ‘애나엑스’로 연기 도전한 김도연, 놀라웠던 점과 아쉬웠던 점. (+애나 만들기 +한지은 +
뮤지컬 배우(?) 홍수현의 노래실력에 민망.27일 저녁 서울 삼성동 코엑스 아트홀에서 열리고 있는 뮤지컬 를 봤다. 우리가 흔히 심심하면 하는 게임을 뮤지컬화해 흥미로웠던 점도 있었지만 무료
www.neocross.net
그런데 이런 자리도 불과 100석에 불과하다. 즉 이 이상한 공연을 보려면 치열한 경쟁률을 뚫어야 한다. 관람 시간도 길지 않다. 75분. 그런데 옴니버스 식이라 75분짜리 공연 3편을 봐야 완성된다. 물론 각각 독립적이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편을 모두 봐야 ‘카포네 트릴로지’는 완성된다.
개인적으로 조금 불편하지만 배우들의 강렬한 연기를 보고 싶다면 무조건 첫 줄을 추천한다. 간혹 배우들과 눈길을 대놓고 근접 거리서 본다. 그러나 공연 전체를 보고 싶다면 4열 양쪽 맨 끝을 추천한다. 여기에 극에서 배우들의 동선을 좀더 확보하고 싶다면 A쪽보다는 B쪽을 추천한다.
극에서 표현되는 연도는 다르지만, 세 연극은 20세기 전반 시카고를 주름잡던 갱 두목 알 카포네의 시대를 관통한다. 알 카포네의 기세가 제일 왕성했던 시기인 ‘로키’(1923년) 경찰에 잡혀 교도소에 있을 시기인 ‘루시퍼’(1934년) 그리고 마지막으로 석방 후 쇠락했던 시기의 이야기인 ‘빈디치’(1943년). 공간이라는 요소만 같을 뿐, 알 카포네의 통치 시기를 다루더라도 풀어내는 이야기나 방식, 요소들이 전혀 다른 ‘카포네 트릴로지’는 그 어느 한 작품만 꼽을 수 없을 정도로 강한 개성을 뽐낸다.
특히 이번에 ‘루시퍼’의 경우에는 ‘더 글로리’ ‘트리거’ 등을 통해 주가를 올린 정성일이 출연하고 있는데, 정성일과 김주연의 연기는 농밀하면서도 꽤 흥미롭게 진행된다. 바로 눈 앞에서 눈동자, 입 모양 하나도 확인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 둘의 모습은 긴장감을 주기도 하고, 때론 어디에 눈길을 줘야할지 모르는 상황도 만든다. 그만큼 같은 공간에서 목격자가 된 듯한 느낌을 준다.
정성일과 김주연 외에 이석준, 김주현, 김도빈, 최호승, 최정우가 출연한다. 참고로 공연은 커튼콜도 촬영이 안된다. 자칫 앞 사람 얼굴을 찍을 수 있기 때문이다.
- 아해소리 -
'대중문화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리-정준영 고준희-박한별-송다은…끝나지 않는 ‘버닝썬 게이트’ (+강남비사이드 +모범택시) (0) | 2025.04.08 |
---|---|
뉴진스(NJZ) 보호하려 뜬금없이 김새론까지 끌고 온 한겨레 이정국 기자. (0) | 2025.03.31 |
18일만에 104만이 빠져나간 김수현 인스타그램, 계속된 침묵에 설리 한지은까지 소환 (+김새론 +리얼) (0) | 2025.03.30 |
한국 사회와 케이팝 시스템을 ‘악마화’한 뉴진스(NZJ)의 주장이 어이없는 이유. (+민희진) (0) | 2025.03.23 |
김새론 사망 관련 김수현‧이진호를 ‘나쁜 놈’으로 만든 것은 박제된 ‘기록’ (0) | 2025.03.16 |
스타쉽 막내 키키(KiiiKiii)와 SM 막내 하츠투하츠(Hearts2Hearts)의 등장과 뉴진스(NJZ)의 존재감. (+이프아이) (0) | 2025.03.13 |
대중문화계, ‘미키17’ 개봉 등 한한령 해제 기대감…최대 악재는 혐중 선봉장 윤석열. (+봉준호) (0) | 2025.03.12 |
“우울장애가 가짜라고?”…사망한 휘성, 2023년 메시지에서 보인 불안함.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