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실업급여 손보기, “놀고 먹는 사람들” vs ”사회안전망 붕괴“
윤석열 정부가 실업급여에 손을 대는 것을 두고 말들이 많다. 이것도 세금으로 집행되는 행정이라, 실업급여를 안 받거나 (혹은 못 받은 이들은) 환영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자칫 불가피한 실업
www.neocross.net
지난해 한 리서치 회사에서 전국 만 20~6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출근 시간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한 적이 있다. 질문의 요점은 회사에서 “9시에 출근해라”라고 했을 때, 이것이 9시까지 회사에 도착하는 것인지, 9시에 업무를 시작하는 지 였다.

실상 이는 MZ세대 직장인을 희화화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고 본다. 즉 일부 MZ세대들의 행동을 전체 MZ세대 특징으로 만든 안 좋은 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는 끊임없이 제기된다.
지난해 여론조사를 보면 전체 응답자의 61%는 출근 시간은 ‘회사에 도착하는 시간’이라고 응답했다. 단, 세대별로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우 56.2%, X세대 60.2%, 밀레니얼 세대 64.3%, Z세대의 경우 60.2%가 출근 시간은 회사에 도착하는 시간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근무시간이 9시~18시인 직장인의 경우, 몇 시까지 출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우, ‘10분 전 출근’이 33.6%로 가장 많은 응답 비율을 나타냈으며, ‘30분 전 출근’ 15.1%, ‘20분 전 출근’ 14.8%,’5분 전 출근’ 14.0%, ‘9시 정시에 맞춰서 출근’이 12.1% 순으로 나타났다.
A급 B급 인재들이 기피하는 윤석열 정부, 그래도 F급 폐급 사용은 아니지 않나.
‘김문수를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임명’. 같은 날 전해진 이 2개의 뉴스는 유시민이 윤석열 정부의 ‘급’평가를 한 말을 새삼 다시 떠올리게 했다. A급
www.neocross.net
실상 이는 MZ세대의 어떤 특성이라기보다는, 그냥 직장인들의 특성이다. 늦게 출근하고 빨리 퇴근하는 직장생활을 꿈꾸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9시까지 회사 도착’이 정답이다. 그러나 직장생활을 해 본 사람들이라면 이 상황이 얼마나 비현실적인 일인지 알게 된다. 즉 위의 설문 조사는 “9시 출근이 어떤 시간이라고 생각하냐”라기 보다는 “9시 출근이 어떤 시간이었으면 좋겠냐”라는 희망을 묻는 것에 불과하다.
실상 계약서에 ‘9시 출근’이라고 기재한 회사는 많지 않을 것이다. 보통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혹은 18시)까지 근무하며, 12시부터 오후 1시(혹은 13시)까지 점심 시간을 갖는다’ 등으로 기재됐을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근무’ 혹은 ‘업무’라는 단어다.
즉 9시까지 ‘출근’하는 것이 아니라, 9시부터 ‘업무’를 시작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보통 30분전에 미리 ‘출근’해서 업무를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1시간 전에 출근하든, 10분 전에 출근하든 상관없이 9시에 업무가 시작되어야 한다.
MZ세대들이 “8시 30분에 출근하면 30분 일찍 퇴근 시켜 주나요?”라든지, “8시 30분에 출근하면 30분 근무수당 주나요?”라든지 하는 말을 들으면 저 ‘업무’에 포인트를 맞춰 설명해 주면 된다.
예를 들어 9시 정각에 직장 상사가 “오늘 회의하기로 한 자료 가져와”라고 했을 때 “저 지금 출근해서 아직 컴퓨터도 못 켰는데요”라고 말이 나온다면 안된다는 것이다. 업무는 시작됐고, 그에 맞춰 회사든 거래처든, 관계된 사람들이 움직이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나는 9시 출근할래요”는 업무 준비가 다 끝낸 상황에서 9시 정각에 사무실에 들어와 저런 상사들의 요구나 거래처의 요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9시에 출근해서 준비하고 커피 한잔 한 후 30여분이나 지나 업무를 시작하면 이상하지 않을까.
여기서 반박이 나올 수 있다. 그럼 “퇴근도 6시에 칼 같이 시켜달라”라고 말이다. 그런데 여기서도 전제가 깔린다. 그날 해결할 일을 다 끝냈을 때다. 그래서 야근수당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그럼 이 상황이 다 맞냐고? 아니다. 그래서 직장생활에는 유연함이 필요하다.
“난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제 생활로 갈거에요”라는 주장은 그냥 그 회사를 다니기 싫다거나, 본인이 그 정도로 편의를 받을 정도로 회사에서 인정받는 인재일 경우다. 그게 아니라면 사회가 요구하는 유연함이 필수다.
9시 출근. 칼같이 그 시간에 나오겠다는 말을 계속 할 수 있을까.
- 아해소리 -
'잡다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 대접 못 받고, 김문수에게 밀리고, 명태균에게 쫄았고, ‘SNS 워리어’만 된 홍준표. (+손석희) (0) | 2025.01.25 |
---|---|
이혁재‧최준용‧차강석‧김흥국…인지도 낮은 연예인들의 ‘윤석열 코인’ 이용하기 (+전한길) (0) | 2025.01.24 |
탄핵소추 논란은 권성동 말로 반박, 부정선거 논란은 국민의힘 주장으로 반박. (0) | 2025.01.22 |
부정선거 의혹 선관위는 정말 압수수색을 할 수 없나? 그리고 없었나? (+윤석열 +김건희 +조선일보) (0) | 2025.01.22 |
후지TV, 여자 아나운서 연예인 성상납 사건과 강용석 (+아나운서 캘린더 +밤쉘) (0) | 2025.01.21 |
'윤석열 구속' 서부지법 난입 극우 유튜버 및 지지자와 손절하는 윤상현과 국민의힘 (+법적 처벌 수위 전망) (0) | 2025.01.20 |
윤석열 체포 및 구속 후 극우 및 국민의힘 지지자들의 희망사항은? (+윤상현의 배신?) (0) | 2025.01.19 |
체포된 윤석열, ‘마지막 메시지’로 ‘정상적 인간’ 포기를 증명하다. (+유혈사태 +민주주의)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