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윤석열 탄핵’ 국민의힘 집단 퇴장했는데, 김재섭만 유독 더 욕먹는 이유는? (+도봉구민 의견

국민의힘은 소속 국회의원 얼굴 숨기는데, 경향‧한겨레는 1면에 박제. (+해명? +불참명단)‘윤석열 탄핵’ 불참한 국민의힘, 카톡지옥 카톡감옥에 빠지다 (+불참 명단)윤석열 한동훈 김용현 이

www.neocross.net

 

 

윤석열이 계엄령 선포로 쿠데타(내란)를 도모하다가 실패하는 과정에서 의아한 점이 있었다. 보통은 방송사를 점거하는데,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점거하러 갔다. 이 때문에 지금 참언론인은 김어준이었구나라는 말까지 나온다. 그럼에도 어쨌든 방송사들은 뉴스특보로 지금까지도 이 사안을 다루고 있는데, 시청률을 보면 MBC가 단연 압도적이다. KBS가 처참한 수준이다.

 

 

일단 윤석열이 비상 계엄 선포할 당시로 가보자. 3일 윤석열이 술 취한 듯한 모습으로 TV에 나와서 비상계엄을 선포한 시간은 밤 1023분이다. 이후 1050분 전후 지상파와 종편은 일제히 특보를 내보내기 시작했다.

 

다음날 방송사 성적표를 보면 지상파 중 MBC6.8%의 시청률을 보였고, SBS3.3%, KBS2.4%다 거의 3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종편의 경우 JTBC4.2%, TV조선 3.9%, MBN 2.3%, 채널A 1.1% 순이다. 지상파와 종편을 같이 봐도 KBS5등이다. 참고로 MBCJTBC는 윤석열과 국민의힘이 미워하는 방송사다.

 

당시 MBC를 지켜본 시청자 수는 약 128만명이었고, JTBC102만명이었다. TV조선은 74만명, SBS, KBS1은 각각 54만명, 52만명이다. MBN49만명, 채널A23만명 수준이었다.

 

윤석열 탄핵소추한 표결이 진행될 당시에서도 MBC ‘뉴스데스크및 뉴스특보가 단연 압도적이었다. 국민의힘이 제일 미워하는 MBC가 국민의힘 단체 퇴장을 가장 잘 보여준 셈이다.

 

7일 오후 4시부터 방송된 MBC 뉴스특보는 전국 가구 기준 10.5%, 오후 730분부터 9시까지 방송된 MBC '뉴스데스크'10.2%의 시청률을 각각 기록했다.

 

해당 시간대 KBS 또한 뉴스특보를 방영, 3.8%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SBS는 오후 4시부터 740분까지 방영한 SBS 뉴스특보가 3.2%, 이후 10시까지 방영한 '8시 뉴스'3.2%의 같은 시청률을 나타냈다.

 

 

‘윤석열 탄핵 정국’ 임영웅 “연예인이 왜?” vs 이채연 “연예인이니까” (+해린 김연아 한소

쇼츠보다 짧은 2분 윤석열 담화, 김건희와 함께 탄핵시켜달라 국민에게 부탁하는건가 (+야당 무윤석열 한동훈 김용현 이상민 여인형 양광준…괴물들 낳아 부끄러워진 육사‧서울대‧충암고.‘

www.neocross.net

 

 

종합편성채널에서는 JTBC가 해당 시간대 뉴스특보로 3.176%, '뉴스룸'으로 3.574%의 전국 유료방송가구 기준 시청률을 각각 나타냈다. TV조선 뉴스특보는 1.868%, '뉴스7'2.511%로 각각 집계됐다. MBN은 뉴스특보가 1.192%, '뉴스센터'1.388%를 각각 기록했으며, 채널A는 뉴스특보가 1.056%, '뉴스A`1.269%를 각각 보였다.

 

이는 8일까지 이어졌다. 9일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전날 방송한 뉴스데스크는 전국 시청률 10.3%를 찍었다. 12·3 계엄 사태 다음날부터 엿새째 1위를 지켰다. 410.6%로 치솟은 뒤 510.4%, 69.8%, 710.2% 등 높은 기록을 이어갔다. 계엄령 전 평균 시청률은 5~7% 선이었다.

 

KBS 1TV '뉴스9'5.6%, SBS TV '8시 뉴스'3.8%에 그쳤다. KBS 1TV '일요진단 라이브'·'뉴스특보'3.2%, 2.6·2.7%. KBSSBS12·3 비상계엄 사태 후에도 시청률 변화가 없었다.

 

이날 방송한 MBC TV '탐사기획 스트레이트'8.1%를 기록했다. 지난주 방송분(3.6%)보다 4.5%포인트 높은 수치다. MBC 뉴스특보는 6.6%, 5.1%로 집계됐다.

 

재미있는 것은 유튜브 시청자 숫자다. 탄핵소추안 표결 당시 각 지상파 방송사들은 유튜브 생중계를 했는데, 당시 MBC35만명 수준이었고, JTBC18만명 수준이었다. 그런데 KBS2만명 수준에 그쳤다. 참고로 김어준의 뉴스공장 유튜브는 당시 11만명이 시청했다. KBS는 김어준의 뉴스공장보다 못한 매체로 자리잡은 셈이다.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