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와 스타벅, 세이렌과 세이렌 오더 (그리고 홍대와 강남 매장수)
현재 한국에서 가장 확장세가 큰 커피 전문점을 이야기하라고 하면 누구나 스타벅스(Starbucks)를 거론할 것이다. 단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장소 중 하나인 홍대입구역 주변만 하더라도 도
www.neocross.net
스타벅스에서 음료를 구매하면 회원에게 주는 별이 있다. 신경 쓰지 않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지만, 스타벅스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소소한 재미를 주곤 한다. 특히 몇 개를 모으면 무료 음료 쿠폰이 나오니, 기왕 스타벅스를 이용할 것이면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정리해 둔다. 참고로 골든레벨 등급 기준으로 보면 별 한 개에 500~600원의 가치가 있다고 한다.
1. 등급
이는 스타벅스 어플을 사용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확인했을 것이다. 혹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웰컴, 그린, 골드 레벨이 나눠진다.
- 웰컴(welcome) 레벨
회원 가입 후 첫 구매시, 익일부터 사용할 수 있는 카페 아메리카노 무료 쿠폰이 발행.
스타벅스 카드로 구매시 free extra 1개 제공.
1회 5만원 이상 자동 충전 설정 후, 자동 충전 발생 시마다 익일 제조 음료 1+1 쿠폰 발행 (충전 금액 합산 적용 불가)
실물 카드 분실 시 잔액 보호.
- 그린(green) 레벨 : 별 5개 모으면 그린으로 레벨업.
웰컴 레벨 혜택 모두 동일.
생일 쿠폰 발행
제조 음료 1+1 쿠폰 발행
- 골드레벨 : 1년간 별 30개 모으면 레벨업.
웰컴+그린 레벨 혜택 모두 동일.
별 12개 모을 시 무료 음료 쿠폰 발행.
personalized offer 쿠폰 발행
골드 회원만의 e-gold card 발급. 온라인에서 바로 발급받아 사용 가능
홍대 공부 가능한 카페 비교. 투썸 vs 스타벅스 vs 할리스
언제부터인가 이상하게 집에서 일이 안 된다. 약간의 백색 소음이 필요하기도 하고, 집에서는 ‘잡일’이 많다. A4용지 한 장 글을 쓰는데, 집에서 2~3시간 걸릴 정도의 내용이 카페에서는 1시간
www.neocross.net
2. 별 적립 방법과 기준
- 방문별=기본별
스타벅스 카드로 1000원 이상 결제시, 영수증 1장당 방문별 1개가 적립. 여기서 몇 가지 복잡한 내용이 들어감.
첫째. 일반카드로 적립. 스타벅스 별 적립은 기본적으로 스타벅스 카드 (어플 결제)만 가능. 그러나 일반카드로 할 경우 분할결제 가능. 8000원을 살 경우, 일반 카드로 5000원, 스타벅스 카드로 3000원 가능. 이 내용을 언급하는 이유는 어플 결제 때문. 스타벅스 선물용 카드가 많이 이용되는데, 3만원권이라고 하더라도 사실 3~5번 정도만 가능. 그런데 이를 분할 사용할 경우 별을 늘릴 수 있음.
두 번째. 만약 2잔 이상 구매 시 나눠서 영수증을 2개로 하면 별 2개 적립. 단, 주문 시간이 3분 이상 텀이 있어야 함.
세 번째. 기프티콘을 사용할 경우, 별 적립이 안되는데, 이 경우 사이드 업그레이드 혹은 음료 변경을 해서 스타벅스 카드 1000원 이상 추가결제 하면 별 적립.
- 에코별=개인컵
에코별은 스타벅스 개인컵을 사용할 경우 주는 인센티브다. 음료마다 별 1개씩 준다. 참고로 개인컵 사용시 400원 할인과 별 1개 적립 중 선택한다.
- 그외 수시로 이벤트별로 뜬다.
- 아해소리 -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뉴스제휴평가위원회 부활, 스카이데일리가 불 지폈나? (+가짜뉴스 +찌라시) (0) | 2025.02.04 |
---|---|
유튜브 쇼츠 수익창출, 구독자 1000명이 우선일까 조회수 1000만이 우선일까. (+실제 수익) (0) | 2025.01.17 |
일주일에 8일 먹던 술자리 옹호자의 위, 장, 간, 그리고 숙취 해소 방법 (+우루사 +오타이산) (0) | 2025.01.16 |
5세대 실손보험? 1세대 실손보험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 (+실비보험 변천사) (0) | 2025.01.15 |
고혈압‧고지혈증‧복부비만 등 구청 대사증후군 무료 검진 받기 (+마포구 +아쉬움) (0) | 2025.01.10 |
탈모 예방 방법과 음식 그리고 탈모 치료 병원 (+광고 아님) (0) | 2025.01.08 |
‘윤석열 탄핵 심판’ 맡은 김복형 헌법재판관은 누구일까 (+성향 뚜렷하지 않아) (0) | 2025.01.08 |
월세 환급 신청 방법 및 조건 간단하게 정리 (+월세 납입 때 통장 표기)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