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항공 참사’일까 ‘무안항공 참사’일까…명칭 둘러싸고 논쟁 일어난 이유. (+지역감정)

제주항공, 무안공항서 추락 폭발…시상식 등 연말 행사 올스톱 분위기 (+최상목 지시)이태원 압사 참사, 좌우 진영의 '책임론' 찌라시 한번 살펴볼까국민 156명이 사망했고, 그중 20대가 104명이다.

www.neocross.net

 

무안공항에서 동체 착륙 후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딪쳐 폭발한 참사로 신뢰도가 다소 떨어지긴 했지만, 제주항공은 LCC 이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1위 항공사였다. 이는 아마 비행기로 갈 수 있는 국내 여행지 중 제주도가 가장 선호도가 높고, 운행 횟수나 비용 측면에서 제주항공이 가장 뛰어났고, 이런 점에 해외여행까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서비스면에서도 그렇다. 그런데 제주항공이 2022년부터 시작한 탑승순서는 여전히 애매하다.

 

제주항공 탑승순서 시스템

 

제주도나 베트남, 대만을 자주 찾는 입장에서 제주항공은 나름 괜찮은 선택지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저 탑승순서를 왜 운영하는 지에 대해 의아할 때가 많다. 실상 여기서 길게 쓸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최근 자주이용하면서 든 의문점이기에 남겨본다.

 

저 탑승순서는 20222월부터 제주항공이 시작한 탑승방식으로 간단히 말해 자신이 언제 탑승하는 것이 좋을지를 탑승권에 1,2,3 번호를 매겨 순서대로 탈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맨 뒷좌석부터 일정 좌석까지를 1번 탑승순서로, 이후 2번 탑승순서, 3번 탑승순서로 태운다는 것이다. 실제 비행기를 타 본 사람들은 알지만, 앞쪽 좌석이나 중간 좌석부터 타기 시작하면 정체가 일어난다. 이유는 캐리어 등 짐 때문이다. 짐을 올리고 좌석에 앉기 위해 이것저것 정리하다 보면 사람들이 좁은 복도에 서 있게 되고, 이게 길어지면 탑승 시간이 늘어난다.

 

 

승객들이 스튜어디스의 안전 브리핑을 본다?…에어부산 화재 사건 이후 달라진 풍경.

‘제주항공 참사’일까 ‘무안항공 참사’일까…명칭 둘러싸고 논쟁 일어난 이유. (+지역감정)제주항공, 무안공항서 추락 폭발…시상식 등 연말 행사 올스톱 분위기 (+최상목 지시)이태원 압사

www.neocross.net

 

이 때문에 뒷좌석부터 타면 그들이 짐을 넣더라도 중간좌석이 이어지고, 다시 앞좌석으로 이어지면 탑승 시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퍼스트클래스, 비즈니스, 혹은 비용을 더 줘야 앉는 저가항공의 맨 앞자리를 제외)

 

도입 당시 제주항공의 입장은 승객이 소지한 종이나 모바일 탑승권에 ‘1, 2, 3’으로 표기해 탑승시 혼잡을 막고 기내 대기하는 시간을 줄이는 데 주력하려 한다며 교통약자를 위한 키오스크를 준비하는 등 제주항공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더 편안하고 즐거운 여행에 나설 수 있도록 고객 편의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시스템만으로 보면 굉장히 효율적이다. 그리고 비행기를 많이 타 본 입장에서 보면 이는 당연한 것이고, 승객 입장에서도 편하다. 그 좁은 복도에서 밀리지 않고, 자기 좌석과 짐칸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이런 글을 남기는 이유는 시스템에 비해 직원이나 승객 모두가 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할뿐더러, 실제로 운영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무슨 소리인고 하니. 가장 최근의 일을 언급하면 김포공항에서 제주공항, 제주공항에서 김포공항을 왔다갔다 할 때 경험이다.

 

 

일단 제주로 갈 때, 탑승할 되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줄을 선다. 직원들이 탑승순서 1부터 서달라며 2, 3번 순서를 기다려달라고 하지만, 이를 딱히 체크하거나 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은 23이든 줄을 그냥 선다. 더 당황스러운 것은 줄이 길게 서 있는데, 탑승시간이 되자 제주항공 직원이 탑승순서 1부터 서달라는 것이다. 줄이 반토막 나고 이곳저곳에서 볼멘소리가 들렸다. 어떤 승객은 23이든 뭔 상관이냐며 그냥 줄 서있는데, 이게 강제사항은 아니라 직원이 그냥 포기한다. 제주공항에서 제주공항으로 올 때는 아예 직원들의 공지도 없었다. 긴 줄이 서 있고, 탑승순서 따윈 의미 없어졌다. 앞서도 말했지만 괜찮은 시스템인데, 의미가 없어진 것이다.

 

어찌보면 이는 좀더 홍보하고 정착화하고 다른 항공사들도 같이 진행했으면 하는 시스템이다. 실제 먼저 타겠다고 그 긴 줄에 몇십 분씩 서 있는 승객들을 보면 답답하다. 그리고 타서 그 좁은 비행기 복도에서 또 왜 앞에 정체되냐며 짜증내는 승객들도 봐도 답답하다.

 

탑승순서대로 타면 여행의 시작부터, 혹은 돌아오는 길이 좀더 편안하지 않을까 해서 끄적여본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