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레이싱모델 신해리 사망에 ‘모델‧크리에이터 추모의 태도 맞나?’ 왈가왈부.

미스코리아 출신으로 레이싱모델과 로드걸을 했던 신해리(본명 신화진)가 안타깝게 사망한 가운데 그의 지인들의 추모 태도를 가지고 여러 말이 나오는 것 같다. 신해리 직업상 적지 않은 지인

www.neocross.net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딥페이크 질문이 나왔을 때 사람들은 어떤 기분이었을까. 최근 연예인들 딥페이크 성범죄가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 굳이 저런 질문을 해야 했을까. 하다못해 한국일보 기자들도 항의를 했다. 여기에 하나 더. 성형이 일상화된 사회, 특히 미스코리아 대회는 성형 대회라는 비난을 아직까지 받는 상황에서 딥페이크질문이 진짜 필요했을까. (진선미에 뽑힌 김채원, 박희선, 윤하영은 저 논란으로 그나마 줄어든 관심조차 제대로 받지 못했다)

 

미스코리아 김채원 박희선 윤하영

 

1. 미스코리아 대회 속 딥페이크 논란.

 

당시 상황으로 돌아가자 미스코리아 2024’ 대회에서 본선에 올라간 15인에게 질문이 던져졌다.

 

딥페이크 영상 속 내가 더 매력적이라면 진짜 나와의 갭은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요?”

 

이 질문은 사실 질문 자체에 문제는 없다. 그런데 시의성이다. 전 세계적으로 딥페이크 성범죄물이 문제가 되고 있고, 특히 그 중 한국 연예인들이 주요 대상이라는 뉴스가 하루가 멀다하고 쏟아지고, 이와 관련한 범죄가 전국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면, 특히 10대가 이 범죄에 많이 가담하고 있다는 사실까지 밝혀졌다.

 

한국일보도 이에 대한 기사를 수없이 쏟아냈다. 그런데 한국일보가 사실상 타이틀을 걸고 주최하는 대회에서 저 질문이 나왔다. 당연히 내부에서 말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주최 측은 단어 선택이 적절하지 않았다. 사과드린다. 다만 표현상의 문제이지, 질문 맥락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다. 딥페이크가 성착취물을 의미하는 단어는 아니기 때문에 의도나 맥락이 잘못됐다고 생각하진 않는다고 해명했다. 사실 틀린 말은 아닌데, 잘못한 것도 사실이다.

 

한국일보 노조도 나섰다. 이들은 미스코리아 대회 폐지가 답이다. 미스코리아 대회는 한국일보 자회사 글로벌이앤비가 주최하고 한국일보는 공동주관사로 참여한다. 한국일보는 그간 딥페이크 범죄에 대한 엄정한 대응을 촉구하는 보도로 일관해 왔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사람 얼굴 이미지를 합성하는 기술을 뜻하는 용어이지만, 성착취와 성범죄 수단으로 악용되며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딥페이크를 이용한 성범죄 피해자는 대부분 여성이고 후보자들은 그 중에서도 가장 큰 피해를 보는 연령대 여성들이다. 단순히 불편함을 주는 것을 넘어 성범죄 기술을 희화화하고 수치심을 느끼게 하는 폭력적인 질문이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카트걸' 선발…'재능·개성'등이 왜 "이쁘면 돼"로 들릴까.

넥슨과 연기자 전문 교육 기관 MTM이 함께 진행하는 'WannaBe Kart Girl(이하 워너비 카트걸)'의 온라인 투표 진출자가 드디어 확정되었다.  엉망 진행 엘리트모델 대회 2부 참가비는 70만원?지난 9월 1

www.neocross.net

 

2. 딥페이크는 잘못이 없다.

 

그런데 주최 측의 입장 중 딥페이크가 성착취물을 의미하는 단어는 아니기 때문에 의도나 맥락이 잘못됐다고 생각하진 않는다라는 말은 사실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시기가 적절하지 않았다.

 

실상 딥페이크는 현실에서 많은 영역에서 긍정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간 상처입고 아픔만을 간직한 채 우리에게 보이던 독립운동가들의 모습을 그 나이대에 맞게, 후손들에게 친근하게 만들기도 하고, 가상 영상으로 그들에게 광복을 맛보게도 했다. 또 방송가에서도 일찍 세상을 떠난 가수들의 모습을 인공지능으로 살려내 무대에 올리기도 했다.

 

그리고 지금도 딥페이크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줄 여러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결국은 미스코리아 대회가 ‘시대를 읽지 못한 상태’가 문제일 뿐이다

 

3. 추락한 미스코리아 대회이기에....그리고 성형.

 

사실 이번 미스코리아 대회를 향한 지적은 단순히 딥페이크의 문제가 아니다. 1957년에 시작한 미스코리아 대회는 어떻게 보면 당시 사람들의 욕망을 충족시켜준 거대한 쇼였다. 대외적으로도 해외 미인대회에 참가해, 사실 해외에 내세울 만한 브랜드가 없던 시기에 나름 한국의 브랜드를 만들어 가기도 했다. 그리고 출전 여성들은 연예인 등으로 가는 통로이기도 했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를 미스코리아 대회가 따라가지 못했다. 선발 과정의 문제점도 있었지만, 여성을 무대에 세우고 드레스나 수영복 등 다양한 옷을 입히며 외모를 평가하는 과정은 여성의 성상품화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여기에 어느 순간 한국의 미인이 아니라, 출전하기 위해 강남에서 성형수술을 받은 여성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미인대회가 아니라 성형대회라는 비아냥까지 들었다. 결국 지상파에서조차 퇴출 됐고, ‘미스코리아 출신이란 타이틀은 과거와 같은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 성형 부분은 딥페이크 질문과도 묘하게 닿아있다. 그러기에 사람들의 비판의 강도는 더 높을 수 밖에 없다. “어차피 성형한 여성들이 나오는 대회에서 딥페이크가 뭐가 문제야라는 비아냥이 나오는 이유다.

 

그리고 하나 더. 가끔 한국 최고의 미인이라는 말을 미스코리아에 붙이는데. 글쎄다. SNS가 더 많은 이들의 미인을 보여주지 않나? 뭐 그들도......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한국 걸그룹들의 모습이 해외 딥페이크 음란물 영상에 악용되고 있다는 이야기는 이미 오래 전부터 나온 이야기다. 최근 전국적으로 중고등학생 딥페이크 문제가 되면서 부상했을 뿐이다. 기획사들의 ‘엄정 대응’이 어이없는 이유다.

 

한국 아이돌 딥페이크 역사 그리고 피해는 어느 정도일까 (+중국 AI 불법 생성과 구글의 방치)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중학생‧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범죄로 인해 케이팝 아이돌, 특히 아이브 장원영 안유진, 트와이스 사나 쯔위, 블랙핑크 제니 지수, 뉴진스 민지

www.neocross.net

 

트와이스 딥페이크

 

YG엔터테인먼트는 2일 소속 아티스트들이 딥페이크 음란물 제작에 이용되는 것과 관련해 입장을 밝혔다. 내용은 이렇다.

 
“당사는 소속 아티스트들과 관련하여 부적절한 딥페이크(AI기반 합성 영상물)제작물이 제작 및 유포되고 있는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광범위하고 악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해당 불법행위를 계속 모니터링 하고 불법 영상물을 삭제/차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형사절차를 포함하여 가능한 모든 법적 조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아티스트의 인격과 명예에 심각한 위해를 미치는 모든 불법행위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강경하고 엄정하게 대응할 예정입니다.”
 

앞서 JYP엔터테인먼트도 대응 방침을 밝혔다.

 
“최근 당사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영상물이 확산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는 명백한 불법 행위이며, 현재 관련 자료를 모두 수집하고 있는바, 전문 법무법인과 함께 선처 없는 강력한 법적 대응을 진행 중이다. 아티스트의 권익을 침해하는 모든 행위를 절대 좌시하지 않고, 끝까지 단호하게 대처할 것임을 말씀드린다.”
 
이에 앞서는 뉴진스 소속사 어도어는 지난 6월에, 가수 권은비는 지난 7월에 각각 딥페이크 음란 합성물을 유포 또는 판매한 이들을 형사 고소했다.
 
그런데 이 같은 각 기획사들의 입장을 보면 이렇게나 늦게?”라는 반응이 나온다. YG 걸그룹 블랙핑크 제니와 지수 등은 수 년전부터 딥페이크 영상이 돌았다. JYP 역시 트와이스 나연 쯔위 등의 모습을 담긴 딥페이크 음란물 영상물이 수년 전부터 확산했다.
 
그런데 지금에 와서 갑자기?. 물론 분위기라는 것이 있고, 정부의 대응과 반응이 있을 때 나서는 것이 오히려 확산 차단을 막는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팬들 입장에서 볼 때는 그동안 딥페이크 사안의 무게를 모르고 외면했을 가능성도 높다. 아니면 공론화 하면 사람들이 더 찾아볼까봐 안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측면으로 봐도 아티스트들에게는 득이 될 것이 없다. 좀더 빨리, 적극적으로 나섰어야 했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중학생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범죄로 인해 케이팝 아이돌, 특히 아이브 장원영 안유진, 트와이스 사나 쯔위, 블랙핑크 제니 지수, 뉴진스 민지 등 걸그룹을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범죄가 다시 수면 위로 올랐다. 그 범위가 어느 정도이고, 구글은 이를 어디까지 방치하고 있는 것일까.

 

 

외국인에게 축제였던 ‘잼버리 콘서트’, 국내에서 아이돌을 상주로 내세운 장례식.

세계적인 망신을 당한 ‘새만금 잼버리’가 끝났다. 행사 초반 조직위와 정부를 비판하던 언론들도 케이팝 콘서트로 마무리되고, 전국 지자체들 프로그램이 호평(?)을 받자, 마치 성공적인 잼버

www.neocross.net

 

딥페이크 걸그룹 아이돌

1. 2017년 딥페이크 음란물의 시작과 한국 아이돌 피해의 시작.

 

201712월 해외에서 갤 가돗, 엠마 왓슨, 스칼렛 요한슨 등 할리우드 유명 여배우 얼굴을 실제 포르노 배우의 몸과 합성한 영상이 공개돼 비난이 일었다. 이 영상은 지금까지도 돌아다니고 있다. 이후 몇 개월 지나지 않은 2018년 초 블랙핑크 제니, 지수 등을 비롯해 소녀시대 윤하 등 한국 걸그룹 멤버들의 음란물 동영상이 온라인에 유포됐다. 해외 딥페이크 음란물 영상이 유포된 지 두 달도 되지 않아서 케이팝(K-POP) 아이돌 멤버들이 음란물 딥페이크의 희생양이 된 셈이다.

 

당시에는 생성형 AI 등의 용어도 생소했고, 일반인이 딥페이크 기술을 구현한다는 것이 상상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논란은 일었지만, 더 많은 딥페이크 음란물이 생성될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건 착각이었다.

 

2. 2019년 네덜란드 보고서 속 한국 연예인.

 

2019년 네덜란드의 사이버 보안 연구 회사인 딥 트레이스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딥페이크 영상은 20187964개에서 201914678건으로 84%가 상승했는데, 그 중 성인물이 무려 96%를 차지하는데, 영상에 등장하는 특정인물의 성별은 모두 여성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영상의 피해자 중 25%가 한국 연예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3. 2023년 미국 보고서 속 한국 연예인

 

미국 사이버 보안 업체 홈시큐리티히어로즈가 발표한 ‘2023년 딥페이크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에 올라온 딥페이크 동영상 95820개와 딥페이크 웹사이트 100여개를 분석한 결과 98%가 음란물이었다. 일반 동영상은 여성이 주인공인 경우가 77%였지만, 음란물 딥페이크 동영상은 여성 주인공 비율이 99%에 달했다.

 

그리고 딥페이크 음란물 주인공 53%가 한국 배우와 가수였다. 다음으로 미국(20%), 일본(10%), 영국(6%), 중국(3%), 인도(2%), 대만(2%), 이스라엘(1%) 순이다.

 

한국 배우와 가수 중에서도 비율을 굳이 따지지 않아도 걸그룹이 압도적일 것이다. 이미 2018년부터 이들을 대상으로 제작됐고 유포됐으면 생성형 AI로 인해 더더욱 많은 영상물이 돌아다닐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전에는 음란물 영상에 한국 연예인들의 얼굴을 합성했다면 최근에는 아이돌, 특히 걸그룹들의 무대에 나체의 모습을 합성하는 모습으로 진화했다.

 

 

빙(bing) copilot를 이용한 그림 그리기. ‘무대 위 한국여자=걸그룹’(?)

생성형 AI를 이용해 그림을 그리면 어떻게 나올까. 스마트폰에 깔아놓은 빙(bing)이 최근 주목을 받는다고 해서, 이를 이용해 몇몇 그림을 그려봤다. AI가 쓴 윤석열 ‘국군의 날’ 경축사. ‘광복

www.neocross.net

 

 

4. 중국의 웹사이트와 구글( google)의 방치

 

현재 한국 걸그룹 중 누가 피해자다라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딥페이크 영상은 확산됐다. 어이없게도 구글에서 이와 관련된 키워드 몇 개만 조합해서 검색해보면 이미지와 동영상이 그대로 나온다. 물론 대부분 유료 결제인데, 썸네일만 보더라도 케이팝 아이돌 그룹들의 피해가 어느 정도일지 가늠이 될 정도다.

 

특히 중국 느낌을 풍기는 웹사이트가 적잖이 보인다. 이들은 아예 카테고리를 케이팝, 트와이스, 아이브, 블랙핑크, 르세라핌 등 글로벌하게 인기를 끌고 있는 걸그룹들이 주요 타깃이다 여기에 최근 법적 대응을 한다는 권은비를 비롯해 다수의 배우도 존재한다.

 

5. 한국 정부의 대응.

 

사실 정부 차원에서 이를 원천적으로 막을 방법은 없다. 특히 글로벌 검색 플랫폼 등이나 텔레그램은 어느 선까지 개입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 지도 막막할 것이다. 현재 경찰 조사와 별개로 방송통신심위위원회가 기존 시정요청 협력 대상에 공식 등재된 구글·유튜브·페이스북·인스타·엑스·틱톡·텀블러·핀터레스트·윅스·왓패드·미디엄과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한다.

 

문제는 현재의 방심위가 이러한 실제 문제 해결보다는 윤석열 정부의 방송 장악, 김건희의 방탄을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이들이 과연 한국 연예인들의 딥페이크 문제를 진지하게 생각할지 의문이다.

 

- 아해소리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