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범바우 막국수집. 몇 번 이야기했지만 어느 지역을 갈 때 해당 음식점이 어느 방송에 나왔고 하는 것을 그다지 믿지 않는다. 거기에 블로그에 꼼꼼하게 반찬과 실내까지 찍힌 정보는 더더욱 신뢰가 안간다. 광고성이 짙기 때문이다. (실제로 몇몇 블로그는 제공 사진과 영상을 사용하다보니, 내용은 다른데, 사진이 똑같은 착실함을 보이기도 한다)
<食> 모르면 지나칠 수 있는 ‘괜찮은’ 강릉 정원 식당.
강릉 정원식당을 찾아가는 과정은 이랬다. 바람 쐬러 갑자기 강릉에 갔다. 어느 곳이 어떻게 괜찮은지는 추후 이야기하고. 아무튼 정말 ‘갑자기’ 고속도로를 달렸고, 밤바다를 봤고, 호텔
www.neocross.net
양양 범바우 막국수를 누군가 추천해줬기에 가봤다. 숙소가 있던 정암 해수욕장 인근에서 걸어서 갈 정도라, 숙소에 짐부터 풀고 방문했다.
한국인의 장점인 검색을 해보니 이런 기사가 나온다.
“‘범바우막국수’가 스포츠투데이 2017년 상반기 ‘고객만족 대상’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지난해 스포츠서울 ‘2016 소비자 만족대상’에 이어 2년 연속 대상에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여기서 일단 점수 깎고 들어간다. 일간지나 스포츠지가 ‘고객만족 대상’에 이름을 올리는 것 대부분이 협찬비나 광고비를 받기 때문이다. 언론사게 제안을 했든, 범바우막국수가 누군가의 소개로 참여한지는 모르겠지만, 저 상은 전적으로 믿기 어렵다.
어쨌든 찾아갔다. 코로나19 때문인지 사람들은 별로 없었다. 막국수를 시켰다.
우선 맛이 아주 뛰어나거나 하진 않았다. 개인적으로 면에서 따로 진하게 느껴지는 메밀향은 크게 못 느꼈다. 뭐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서울 몇몇 곳에서는 향이 진함을 느껴봐서, 어느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취재를 간 것도 아니기에, 따로 주인이나 가게 관계자들에게 물어볼 필요도 없고.
아무튼 일단 비빔 형태로 먼저 먹었다. 면은 끊어지는 느낌이 없이 제법 찰진 느낌도 있다. 물론 양념장과 설탕 등 자신의 기호에 따라 변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아무 것도 안 넣는 쪽을 선호해서리.
비트와 꾸지뽕 진액을 넣었다는 육수를 넣었더니 맛이 다소 달라졌다. 이 육수를 넣고 조금은 더 청량해지는데, 이 정도면 중딩이하의 입맛들도 어느 정도 덤벼들 수 있겠다 싶었다.
전체적으로 점수를 주자면 10점 만점에 7점 정도. 그런데 여기서 또한번 점수가 깎였다. 바로 메밀가루 원산지가 중국산이라는 것.
물론 현재 국내 메밀 수급에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제주도와 강원도에서 나는 메밀로는 국내 메밀 공급을 다 채우지 못한다는 말을 들었다. 여기에 중국에서 메밀가루를 들여와 제대로 면을 뽑아만 내면 큰 차이가 없다는 평가도 있다. 오히려 오래된 국내산 메밀이 더 안 좋고, 때문에 국내산 재료로 했음에도 메밀 음식이 싸면 의심해 봐야 하다는 말까지도.
그러나 이제 막 문을 열어 고객들에게 다양한 형태로 메밀음식을 선보이는 식당이 아닌, 35년 넘게 양양 지역을 대표한다고 말하는 음식점이라면, 이 부분은 생각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맛을 아는 이들에게 민감할 수 있지만, 모르는 이들에게도 ‘중국산’이 주는 이미지는 크다. 이 부분 때문에 전체적으로 5점 정도 줄 수 있겠다.
- 아해소리 -
'여행 그리고 식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금은 독특하지만 입맛 살리는 합정동 숯닭. (0) | 2022.10.25 |
---|---|
파주 카페 카베아, 넓은 공간이 주는 여유로움. (0) | 2021.07.19 |
강원 교동도 망향대 그리고 전망대, 2년 사이 너무 달라졌는데...뭔가 아쉽다. (0) | 2021.07.02 |
기이함과 ‘멍’한 사이, 그 어디선가 중간쯤 보은 멍에목 성지 마을. (0) | 2021.06.14 |
모르면 지나칠 수 있는 ‘괜찮은’ 강릉 정원 식당. (0) | 2020.10.25 |
가평 산골농원, 보는 즐거움은 있지만 평범한 맛. (0) | 2020.04.27 |
2019년 한일 관계 속에서 일본 여행을 간다는 의미는? (0) | 2019.11.27 |
다 알 거 같지만, 다시 살펴볼 대만 타이베이 여행 팁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