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정원식당을 찾아가는 과정은 이랬다. 바람 쐬러 갑자기 강릉에 갔다. 어느 곳이 어떻게 괜찮은지는 추후 이야기하고. 아무튼 정말 ‘갑자기’ 고속도로를 달렸고, 밤바다를 봤고, 호텔에서 다소 뒤척이다가 잠이 들었다. 아무리 갑자기 가고 ‘멍’ 때리기 위해 갔다 하더라도 어디를 가든 우선 ‘먹는 것’은 고민해야 했다. 늦은 아침에 일어나 ‘아점’을 선택하는 것은 더더욱 그렇다.
건네 뛴 아침의 아쉬움과 곧 챙겨야 할 점심의 기대감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적당히 맛있으면서도 속에 부담을 주지 말아야 한다. 그러다 같이 간 친구가 어느 식당을 찾았다며 한 마디 했다.
“여기 평가는 좋은데, 블로그 리뷰가 별로 없어”. 둘 중 하나다. 광고성 리뷰를 하지 않는 곳이거나, 아니면 광고성 리뷰만 있는 곳이거나. 그러나 무엇보다 반찬 하나하나 찍거나, ‘네이버 지도’를 활용한 정보를 알려주는 리뷰가 없는 듯 했다.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있으면 광고성 리뷰이니 거의 대부분 패스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갔다.
뭔가 이상했다. 일반 집이었는데, 대문은 열려있는데 현관문은 닫혀있다. 일단 열었다. “혹 식사 됩니까?”라고 물었더니, 할머니 한 분이 주방에서 음식을 하다가 “네 됩니다”라고 해서 들어갔다.
정원 식당. 메뉴는 7000원 가격의 보리밥 하나뿐이다. 다른 메뉴는 가격표에서 지워졌다. 즉 안 판다는 것이다. 여기에 할머니는 “된장찌개도 먹을거죠. 3000원 추가요”라고 말하신다. 당연했다. 리뷰에서는 된장찌개를 칭찬했으니 시켜야 했다.
계란후라이가 올라간 밥과 다양한 나물이 나오고, 고추장이 나왔다. 그리고 곧 된장찌개가 나왔다. 나물은 신선했고, 밥은 적당했다. 된장찌개는 투박하지만 진했다. 사람마다 일일이 입맛이 다르겠지만, 만족했다.
조금 이른 시간에 갔는데, 곧 서울서 내려오면서 예약한 분들도 들어왔다. 할머니는 어디서 왔는지, 결혼 했는지 물어보는데, 간혹 “왜 이런 것을”이라는 반발도 있곤 했지만, 할머니는 자연스러웠다. 서울서 온 나이 많은 총각을 강릉 처녀와 소개시켜 준 이야기도 너무 자연스럽게 하셨다.
정원 식당은 카드를 받지 않는다. 정확히는 이런 류의 식당들은 안 받는게 맞다. 특히 일정 나이 이상되시는 분들은 카드결제기가 익숙치 않은 분들이 많다. 다행히 계좌이체가 가능했다.
식당인데 맛보다는 선택의 과정과 분위기를 주로 말한 이유는 간단하다. 보리 비빔밥이고, 된장찌개다. 맛있는데, 굳이 어느 표현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재방문의사? 당연하다. 강릉 갈 때마다 한번씩 들릴 거 같다.
- 아해소리 -
'여행 그리고 식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 카페 카베아, 넓은 공간이 주는 여유로움. (0) | 2021.07.19 |
---|---|
강원 교동도 망향대 그리고 전망대, 2년 사이 너무 달라졌는데...뭔가 아쉽다. (0) | 2021.07.02 |
기이함과 ‘멍’한 사이, 그 어디선가 중간쯤 보은 멍에목 성지 마을. (0) | 2021.06.14 |
양양 범바우 막국수, 나쁘진 않지만 찾아갈 정도는. (0) | 2021.01.05 |
가평 산골농원, 보는 즐거움은 있지만 평범한 맛. (0) | 2020.04.27 |
2019년 한일 관계 속에서 일본 여행을 간다는 의미는? (0) | 2019.11.27 |
다 알 거 같지만, 다시 살펴볼 대만 타이베이 여행 팁 (0) | 2018.12.10 |
주병진 평양냉면 '더 평양' (1) | 2017.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