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생이나 20대의 경우 장례식장을 가는 경우가 드물다. 보통 주변에 부친상 모친상보다는 조부모상이 많다 보니 잘 챙기지 않는다. 그런데 직장 상사 등의 나이를 고려하면 그들의 부친상 모친상의 경우 불가피하게 장례식장을 가는데, 간혹 보면 “왜 저럴까”라는 하는 행동을 보게 된다. 그래서 몇 가지 정리해 본다.
1. 복장
장례식장의 가장 기본은 복장이다. 누구나 알고 있듯이 가장 기본은 단정한 검은색 정장이다. 그런데 시대가 변해서 사실 ‘꼭’ 검은색 정장만 입지는 않는다. 청바지를 입든, 면바지를 입든 다양한 의상이 허용된다.
단, 문제는 색깔이다. 최대한 어두운 색깔의 옷을 입어야 한다. 검은색 청바지나 면바지에 검은색 상의를 입는 모습도 많이 보인다. 이 역시도 예의에 어긋나지 않는다.
반바지나 너무 짧은 치마는 예의에 어긋난다. 또 화려한 악세사리 역시 마찬가지다. 양말을 신지 않고 맨발로 들어가는 것도 예의에 어긋난다. 양말도 어두은 색 계열로 준비해야 한다.
조문할 때는 외투나 모자를 벗고 들어가는 것이 예의다. 장례식장에 들어가기 전에 밖에 벗어놓고 들어가야 한다.
2. 조의금
보통 조의금을 낼 때는 3만 원, 5만 원, 7만 원과 같이 '홀수' 단위로 낸다. 그러나 10만 원의 경우에는 3과 7이라는 홀수가 만난 숫자이기 때문에 홀수로 취급한다. 최근에는 보통 10만원으로 조의금이 통일된 듯 싶다.
조의금은 흰 봉투에 담되, 조의금 봉투의 앞면에는 문구를, 뒷면 왼쪽 아래에는 세로로 부조를 하는 사람의 이름을 쓴다. 봉투 입구는 접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에는 장례식장 조의금 봉투 앞면에 미리 문구를 인쇄해 놓은 경우가 많아서 문구를 잘 적지 않는다. 또한 아예 문구를 적지 않고 넣는 경우도 많아서, 문구는 크게 신경 쓰지 안항도 된다.
여기서 간혹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새 지폐 혹은 헌 지폐 이야기다. 어느 사람들은 새 지폐는 축하의 의미가 있어서 헌 지폐를 넣는 것이 좋다며 사용하던 지폐를 가지고 가라고 하는데, 지폐 사용이 급격히 줄어든 요즈음 이것을 따지기에는 어렵다. 보통은 장례식장 앞 ATM기로 빼기 때문이다. 이는 크게 신경 쓸 내용은 아닌 듯 싶다.
3. 분향 및 헌화
장례식장 입구에서 봉투를 넣고 방명록에 이름을 쓴 후 들어가면 첫째로 할 일이 분향 혹은 헌화다.
분향할 때는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친 후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촛불에 불을 붙이고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꺼준다. 불을 끌 때 자신도 모르게 입으로 끌 수 있으니 주의하자. 분향은 향로에 향이 너무 많이 꽂혀 있을 때는 생략해도 된다.
헌화를 하는 경우에도 오른손으로 꽃줄기를 잡고 왼손으로 오른손을 받친 후 꽃봉오리가 영전을 향하도록 올려놓는다. 조문객이 여러 명이라면 대표로 한 사람이 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꽃봉오리 방향에 대해 헤깔릴 수 도 있는데, 이럴 때는 앞에 놓아둔 방향대로 하면 된다. 꽃봉오리가 영전이 아닌 반대 방향으로 다들 놓았다면 그렇게 해도 무방하다.
4. 절 혹은 묵념
장례식장에서 가장 중요한 '절'이다. 절을 할 때는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왼손이 위로 올라와야 한다. 기독교식 장례의 경우 절을 하지 않고 묵념을 하니 상가 종교의 예법에 맞추는 것이 좋다.
그런데 같이 간 인원들 중에 절을 하는 사람과 묵념을 하는 사람이 동행할 경우에는 각자의 방식으로 하면 된다. 보통 절은 하는 사람들이 앞 줄에, 묵념하는 이들이 뒷줄에 선다.
고인에게 절을 할 때는 두 번 하면 된다. 영정 앞에서 두 번의 절을 마친 후 고개만 숙이며 인사를 마친다. 이어 상주와 마주 보고 절을 하게 되는데 이때는 한 번만 한다.
여기서 또 간혹 의견이 갈리는 것이 “문상객은 절을 마친 후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후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라는 부분이다. 보통 이렇게 주장을 하는데, 실제 장례식장에서 이렇게 나오는 경우는 없다. 상주와 맞절을 한 후에는 가족에게 소개하거나 이야기를 한 두마디 하기 때문이다. 그런 후 자연스럽게 나오면 된다.
5. 그 외 지켜야 할 예절
장례식장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술을 마실 때 건배를 하는 것이다. 이는 절대 금물이다. 서로 따라주는 것이야 상관없지만, 건배는 보통 축하의 자리에서 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고인의 사망 원인에 대해 꼬치꼬치 캐묻는 것은 아주 큰 실례다. 조문 시간은 보통 발인이 있는 마지막 날보다 첫날이나 이튿날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또 염과 입관하는 시간도 피해야 한다.
- 아해소리 -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1일 1포? 1일 3포? 1일 5포?…어느 것이 효율적일까. (0) | 2024.11.21 |
---|---|
티스토리 블로그 썸네일 네이버 노출 오류 (+기본 도메인과 2차 도메인) (0) | 2024.11.20 |
숭례문 방화사건 시간대 상황과 복구 그리고 범인 채종기 근황. (0) | 2024.11.19 |
누누티비 운영자 구속에도 주소 바꿔 살아난 티비위키(tvwiki)와 티비몬(tvmon) (+문체부 단속 의지는?) (0) | 2024.11.18 |
누누티비 운영자 검거 및 티비위키(tvwiki) 압수? (+정말일까) (0) | 2024.11.10 |
중국 여행 무비자 입국 주요 내용과 주의 사항. (0) | 2024.11.08 |
‘진격의 거인’ 출판사 편집자 박종현 씨는 정말 아내를 살해했을까 (+고댠사 입장) (0) | 2024.11.07 |
고령 논란‧후보 교체‧피격 사건…‘극한 대결’ 미국 대선 시기별 정리. (0)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