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으로 내가 마지막으로 구입한 소설이라 할 수 있다. 대학때부터 이상하게 소설이라는 장르와 멀어지기 시작했다. 1년전쯤 솔직히 내가 누군지도 모르겠고 뭘 해야할지도 모를 때, 어디선가부터 자극을 받고 싶었다. 그렇다고 누군가 날 때려줄 사람도 없고 (또한 맞으면 아프다.--) 멀리 여행을 가더라도 이상하게 자극은커녕 또다른 고민거리로 연결되어 돌아오곤 했다. 때문에 정신적 자극을 그 돌파구로 삼았고, 그 때 구입한 책이 이 이외수의 소설 '괴물'이다.
<타이타닉> <반지의 제왕> <배틀 로얄>, 혹평과 불가능을 이야기했던 영화들.
영화 제작과 관련한 이야기들은 항상 흥미롭다. 특히 어떤 영화가 제작 자체를 거부당하다가 극적으로 제작돼 대박을 치거나, 혹평을 받던 영화가 대박을 친 이야기들은 짜릿하다. 또 배우들 역
www.neocross.net
언어의 연금술사로 불리는 이외수인만큼 문장의 아름다움은 보증되어 있었다. 또한 약간의 몽환적 분위기의 구성또한 매력적이기까지 했다. 그러나 제목만큼 자극적이거나 가슴을 울리는 흡입력은 떨어졌다. 때문에 난 내가 그동안 소설을 읽은 감성적 느낌이 사라졌나하고 다시 읽어봤다. 여전히 흡인력은 없었다. 어떻게 보면 대학때 읽은 들개가 더 심장을 울렸던 것 같다.
그러나 소설은 권할 만하다. 이외수라는 이름때문만은 아니다. 중간중간 '인간'이라는 것..그리고 그 이면적 다양성에 대해서는 어쩌면 질리도록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그가 꿈꾸는 이상향에 대해 한번쯤은 심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차피 그가 말 안해도 이 세상 모든 사람이 괴물적인 이면모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인정하지 않을 뿐이지..'설마'라고 생각하는 '이상한' 사람이 있다면 개인적으로 영화 '쓰리몬스터' (어차피 같은 말인데..쩝) 를 권한다.
조금 잔인하기는 하다 (극장안 여성들이 기절했으니) 그러나 박찬욱감독의 첫 몬스터를 보다보면 섬뜩해져 오는 것은 그 장면때문이 아니다. 내가 들켜서일 것이다. 속내가 들켰을 때 벌개져 오는 얼굴의 화끈거림..그것을 소설 괴물에서 직접 찾아내기는 힘들겠지만, 느끼기에는 무리가 없을 것이다.
아무튼 소설 괴물은 나같은 동기에서만 아니라면 읽어볼 만한 내용이다.
-아해소리-
'잡다한 도서와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대 세번이상 읽지 마라?" - 삼국지. (0) | 2006.06.21 |
---|---|
'태백산맥'(조정래)┃한국역사의 슬픔과 뿌리찾기 (0) | 2006.05.21 |
수치스런 역사도 우리 역사다 - 다현사. (1) | 2006.05.02 |
<누구나 홀로 선 나무>(조정래)┃글의 무게를 배우다. (0) | 2006.04.28 |
아내가 결혼했다?. (0) | 2006.04.13 |
정말 미래를 추측할 수 있을까 - 미래학 산책. (0) | 2006.02.19 |
베카의 전사들 ㅣ책임질 줄 아는 사람의 대사가 돋보여. (0) | 2005.06.23 |
<곽재구의 포구기행>┃ 조금 외로운 것은 충분히 자유롭게 때문이다. (0) | 2005.05.30 |